내 머릿속

친환경자동차공학 -1- 본문

전공과목 정리/친환경자동차공학

친환경자동차공학 -1-

두구궁 2022. 9. 17. 22:37
728x90
반응형
SMALL

친환경 자동차에 대해 배우는 과목인데 혼자 공부한다고 외워지지가 않아서 작성하면서 공부한 글이다.

이쪽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참고정도 하면 좋을것 같다.

ㅇ
출처 : 위키피디아

글로벌 에너지 소비량을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동향분석한 그래프이다.

당연하게도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2015년부터 2020년까지만 살펴보면

석탄과 석유가 0.6, 0.5%씩 감소했고 나머지는 2.4%씩 증가했다.

아마도 탄소저감을 위한 정책들이 나오면서 이런 현상이 발생했다고 생각하는데 석탄, 석유 말고도

천연가스도 2019년에비해 2020년에는 감소했고 원자력도 미세하지만 감소한 것으로 보아

친환경적인 에너지의 비중을 점점 늘리는 추세이다.

 

출처 : eurostat

이  사진은 최종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낸 그래프인데 최종에너지라는 말이 무엇인지 궁금해 찾아보았다.

 

"최종에너지란 직접 에너지를 소비하는 최종단계의 에너지 소비량을 의미하며, 일차에너지 중 최종 부문의 소비자가 직접 소비한 에너지와 전환과정을 거쳐 생산된 이차에너지 산출량의 합으로 계산됨. 에너지 전환과정에서 손실로 총(일차)에너지 보다 항상 작음 최종에너지 소비는 산업, 수송, 건물(가정 및 상업) 부문으로 나뉘며, 에너지원별로는 석탄, 석유, 가스, 전력, 열 및 기타로 구성됨." (출처:오성범 평가사 블로그)

인데 여기서 나오는 총(일차)에너지는 이차에너지 생산과정에서 발생한 전환손실 에너지와 최종에너지의 합이다. 쉽게 말해 100만큼의 총에너지를 천연상태에서 뽑고 전환손실에너지가 20이라면 최종에너지는 80이 된다.

그리고 최종 에너지는 우리가 그냥 사용할수 있는 가용성있는 에너지로 생각하면 좋을거 같다. ex) 석탄, 가스, 석유, 전력

수송과정과 가구에서 가장 많이 쓰였고 산업이 3순위다. 이 말은 즉슨 교통(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량이 많고 현재 대부분의 자동차들이 내연기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자동차가 필요하다는 뜻인거 같다.

 

출처 : 위키피디아

세번째 그래프는 세계 전력 발전량이다. 전력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좋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전력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가 문제인데, 석탄과 가스의 발전량 의존성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따라서 친환경적인(그린에너지) 방법으로 전력 발전량을 늘리는 것이 환경적인 측면에서 좋다고 생각된다.

728x90
반응형
LIST